주식회사 에이치시티

견적 문의하기
 

KC적합성평가

대한민국에서 방송통신기자재가 전파법에 따라 기술기준에 적합함을 인증하는 제도입니다.
한국 내 방송통신기자재의 적법한 사용 및 유통을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됩니다.

왜 인증이 필요한가?

제품의 안전성, 전자파 적합성, 기술기준 충족을 공식적으로 입증하여 국내 시장에서의 합법적 유통과 신뢰성 있는 사용을 보장합니다.

Point 01  

무선 통신망의
전파 간섭 방지 및 안정성 확보

국제 및 국내 표준 기반 품질·안정성 보장

Point 02  

무선기기의 기술기준
충족 여부 검증

KC 등 법정 기술기준 적합성 공식 확인

Point 03  

소비자 및 사업자 보호

안전·품질 검증으로 신뢰성 및 권익 보장

Point 04  

국내 시장에서 방송통신기자재
합법 유통 보장

인증 필수로 불법 유통 및 리콜 위험 예방

 
 
 
 

관련 법령

인증 분야

01  

무선통신기기

BT/Wi-Fi, 휴대폰, 태블릿, 차량용 무선기기 등 기타 무선통신기능이 포함된 전자기기 전반

02  

전자파적합성 기기

가전제품, 정보통신기기, 산업용 기기 등

03  

유선통신 기기

유선 전화기, 모뎀, 라우터, 게이트웨이 등 전기통신망에 직접 연결되는 유선 기기

인증의 종류

적합인증

전파의 혼·간섭 및 전자파로부터의 기기동작, 인명 안전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방송통신기자재

대상 제품 예시
스마트폰
선박국용 레이다
통합공공망
이동통신용 무선설비
적합등록

적합인증 대상기기보다 전파 혼·간섭, 전자파의 위해 영향이 적은 방송통신기자재

대상 제품 예시
컴퓨터
모니터
전기세탁기
전동공구
블루투스 스피커
전동스쿠터
조명기기
잠정인증

적합성평가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아니하거나 그 밖의 사유로 적합성 평가가 곤란한 방송통신기자재

대상 제품 예시
적합성평가 기준이 마련되지 않은 신규개발기기
동일기자재 적합인증(적합등록)

기자재명칭·모델명·제조자·제조국가·전기적회로·부품·구조·성능·외관 법 제58조의2에 따라 적합인증 또는 적합등록을 받은 기자재와 동일한 경우 신청

대상 제품 예시
적합인증, 적합등록 인증 대상 기자재

인증 절차

Step 1  

인증 신청

  • HCT담당자와 제품사양 확인
    (인증종류, 용도 등 협의)
  • 사업자등록증 사본
  • 제품의 설명서 (사진포함)
  • 견적서 발송
Step 2  

시험 진행

  • 제품용도,규격에 맞게 시험진행
  • 시험성적서 발행
Step 3  

인증접수

  • 승인기관 인증 접수
  • 인증 신청에 필요서류 준비
  • 제품 및 평가 장소 확인
Step 4  

인증서 발급

  • 인증서 발행
  • 수수료 납부
상담 FAQ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