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회사 에이치시티

견적 문의하기
 

왜 인증이 필요한가?

모든 무선 송수신기기는 일본 내에서 사용 또는 판매하기 위해 전파법에 따른 인증이 필수입니다.

인증을 받지 않고 사용할 경우 법적 처벌, 제품 몰수, 판매 중단 등의 제재가 따릅니다.

일본 정부는 인증 받은 기기를 '기술기준에 적합한 기기'로 등록하여 공식적으로 관리합니다.

Point 01  

일본 전파법 준수 및
통신망 안정성 확보

일본 기술 기준을 충족하여 전파 혼신을 막고
안정적인 통신 품질을 보장

Point 02  

기술기준 적합 증명,
기테키(技適) 마크 획득

일본 총무성(MIC)이 지정한 기술 기준 적합성을
증명하고 기테키 마크 획득을 지원

Point 03  

소비자 보호 및 시장에서의 신뢰 구축

공식 인증으로 제품 신뢰도를 높여,
일본 내 소비자와 사업자 모두를 보호

Point 04  

일본 시장 진출 및 합법적 유통 보장

일본 시장 진출의 필수 인증으로, 판매 중단 등
법적 위험을 예방하고 합법적 유통을 보장

 
 
 
 

관련 법령

일본 기술기준 적합인증은 다음 법령에 근거합니다.

01 전파법
02 전파법 시행규칙
(Radio Equipment Regulations)
03 기술기준 적합인증 제도
(Article 38-6 of the Radio Law)

인증 분야

모든 무선 송수신기기에 적용됩니다.

01  

특정무선설비

Wi-Fi, Bluetooth, LTE/5G, Zigbee, RFID, LoRa

02  

소출력 무선기기

NB-IoT, SRD, FeliCa 등

03  

기타 특수 목적 기기

산업용 무선기기, 차량 탑재 무선장비

04  

무선 모듈

RF 모듈 (단, 최종제품 수준에서 재인증 필요할 수 있음)

인증의 종류

형식인증
Type Certification
型式認証
(かたしきにんしょう)

가장 일반적인 인증 방식. RCB가 시험·심사 후 인증서 발급

대상 제품 예시
스마트폰
Wi-Fi
Bluetooth
LTE
 
형식등록
Type Registration
型式登録
(かたしきとうろく)

제조사가 MIC에 서류 제출 후 등록. 일부 특수기기 대상

대상 제품 예시
특정 산업용 무선 장비
군사용 무선 장비
 
기술기준 적합확인
Self-Confirmation
技術基準適合確認
(じゅつぎかんごうかくにん)

제조자가 자체 시험 후 적합 확인, 인증기관 개입 없음

대상 제품 예시

저전력 단거리 무선기기

RFID
일부 SRD
 

인증 절차

Step 1  

인증 신청

  • HCT담당자와 제품사양 확인
    (인증종류, 용도 등 협의)
  • 사업자등록증 사본
  • 제품의 설명서 (사진포함)
  • 견적서 발송
Step 2  

시험 진행

  • 제품용도,규격에 맞게 시험진행
  • 시험성적서 발행
Step 3  

인증접수

  • 승인기관 인증 접수
  • 인증 신청에 필요서류 준비
Step 4  

인증서 발급

  • 인증서 발행
  • 수수료 납부
상담 FAQ TOP